영화 <경관의 피>
이 영화는 2022년 1월 5일에 개봉한 영화로, 사사키 조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작품입니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배우들이 나오는 영화라 당시영화관에서 재미있게 봤던 기억이 납니다. 주연 배우들을 보면 배우 조진웅이 서울시경찰청 광역수사대 1계1팀 3반장인 박강윤 역을 맡아 영화를 이끌어 가고 있습니다. 배우 최우식은 그런 박강윤 밑으로 잠입한 언더커버이자 신입경찰 최민재 역을 맡았습니다. 그리고 배우 박희순은 서울리경찰청 청문감사실 감찰계장 역으로, 권율은 미래코퍼레이션 대표이자 마약조직의 두목 나영빈으로 등장합니다.
<경관의 피> 줄거리
박강윤의 팀에서 활동하던 이명재 형사가 누군가로부터 살해되고, 그 시신을 확인하러 가는 감찰계장은 현장 근처에서 귀에 흉터가 있는 한 남자와 스쳐지나게 되는데, 그가 살인범이라는 직감으로 뒤를 쫓지만 놓쳐버리게 됩니다.
그리고 최민재는 잠복수사중에 마약사범을 검거하게 되지만 법정에서 최민재는 증인으로 참석해 다른 선배 형사의 강압수사가 있었음을 인정하는 원칙주의자의 면모를 보여줍니다. 최민재의 꿋꿋한 신념을 지켜본 감찰계장은 그를 불러 박강윤의 밑으로 들어가 그를 감시해줄 것을 명령합니다. 그러나 최민재는 같은 경찰을 감시하는 것에 불쾌함을 느끼고 거절하지만, 경찰이 죽었다는 감찰계장의 말 한 마디에 표정이 변한 뒤, 어릴적 살해된 아버지의 비밀을 알려주겠다는 조건으로 이를 수락하게 됩니다. 그렇게 감찰계장의 계획대로 최민재는 광역수사대1계 1팀 3반으로 부임하게 되고 박강윤과 함께 다니게 됩니다.
박강윤은 경찰의 신분이지만 호화로운 생활을 하며 경찰답지 않은 삶을 살고 있습니다. 엘리트 출신에 재벌인 나영빈은 마약에 관련해 박강윤의 수사대상 타켓이 됩니다. 마약조직의 보스인 차동철은 라이벌인 나영빈만 없으면 국내 마약계를 혼자서 먹을 수 있다는 생각에 나영빈을 수사중인 박강윤의 부탁을 들어주기도 합니다.
영화가 시작하면 비리경찰과 그를 감시하는 경찰 3대 집안 출신의 신입경찰, 경찰 조직의 비리를 뿌리 뽑으려는 감찰 계장. 이런 구도로 스토리가 전개되는 듯해 보였습니다. 하지만 볼수록 정말 나쁜 경찰이 누구인가? 그 진실이 무엇인가? 헷갈리기 시작하면서 이 영화는 더 재미있어집니다. 박강윤은 겉으로 보기에 누가봐도 비리경찰의 모습으로 비춰집니다. 하지만 최민재는 그런 박강윤의 뒷조사를 하면서 비리경찰이 아님을 확신하게 됩니다. 최민재가 최종적으로 비리경찰의 혐의가 없다는 내사 보고서를 제출함에도 감찰계장은 계속해서 박강윤을 범죄혐의자로 엮으려고 하는데, 이 때부터 누가 진실을 말하는 것인지 알 수가 없게 됩니다.
영화 리뷰
<경관의 피> 라는 제목에 대해서는 영화 초반부터 "아~ 이래서 경관의 피구나!" 하고 감이 오기 시작합니다. 바로 주인공인 최민재가 그의 아버지, 할아버지까지 3대째 경찰을 하고 있기에 경찰집안의 피가 흐른다는 의미임을 알 수 있습니다. 뼛속까지 경관의 피가 흐르는 원칙주의자 최민재에게 박강윤의 수사방식이 과연 옳은 것인지, 자신의 원리원칙을 지키는게 옳은 것인지 갈등하는 걸 보면서 저 또한 어떤게 옳고 그른걸까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박강윤은 범죄자를 잡겠다는 일념으로 법과 규칙을 지키지는 않지만 자신의 몸을 바쳐 수사를 하는 나름의 철칙이 있는 경찰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자신이 교도소에 수감되는 것까지 각오하면서 범죄자를 잡는 장면에서 그의 진심이 100% 증명되기도 했습니다.
방법과 과정이 옳지 않을 수는 있지만 그렇게 하지 않고서는 범죄자를 잡을 수 없는 상황에서 과연 경찰은 어떠한 선택을 해야만 할까요? 정말 어려운 일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저는 보면서 박강윤 같은 경찰이 있어야 이 사회에 진짜 정의가 구현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원리원칙을 고수하던 최민재 역시 그렇게 해서는 범죄자를 잡을 수가 없겠다고 생각한 것이겠죠? 결국 출소한 박강윤을 데리러 벤츠를 끌고오는 모습에서 최민재 역시 진짜 경찰이 되겠다는 그의 다짐을 나타내는 것이라 보여집니다.
역시 조진웅의 연기는 영화를 몰입하게 하는 힘이 있으며 조진웅이 연기함으로써 박강윤이라는 인물이 더 멋있어보였던 것 같습니다. 경관의 피는 최민재 뿐 아니라, 박강윤에게도 충분히 흐르고 있어 보입니다.
잔인한 범죄물이 아니기 때문에 집에서 가벼운 마음으로 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영화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탑건: 매버릭 톰크루즈 주연 레전드 영화 (0) | 2023.02.11 |
---|---|
<소중한 날의 꿈> 마음이 따뜻해지는 우리 영화 (0) | 2023.02.09 |
교섭 실화 현빈 황정민 주연 한국영화 (0) | 2023.02.09 |
하울의 움직이는 성(2004) 판타지 일본 애니메이션 (0) | 2023.02.09 |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후기 (0) | 2023.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