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물교회 실화
영화 <교섭>은 2007년, 실제 있었던 아프가니스탄 피랍 사건인 샘물교회 피랍 사건을 모티브로 제작된 한국영화입니다. 개봉 전부터 현빈과 황정민 두 배우가 주연으로 나오는 영화라 꼭 봐야겠다고 생각했었던 영화입니다. 사실, 실화라는 걸 알고 샘물교회 피랍 사건에 대해 다시 한번 검색해 보았습니다. 그 당시 샘물교회 교인들이 정부에서 엄중한 경고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탈레반이 있는 아프가니스탄에 선교활동을 하러 갔다가 결국 우려했던 일이 생기고야 말았던 바로 그 피랍사건!! 인질들에 대한 비판이 엄청나게 쏟아졌던 사건이라 영화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시선들이 많지 않을까? 하는 게 영화 보기 전 저의 생각이었습니다. 그래도 두 명의 대배우를 앞세워 이 영화를 어떻게 풀어나갈지 궁금했고, 인질들의 목숨을 살리기 위해 그들의 고군분투하는 과정과 긴박함은 영화로 제작하기에 괜찮은 소재가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하기도 했습니다.
영화 <교섭>에서는 당시의 그런 비판들을 의식한 듯 국내여론과 같은 부정적인 내용들은 보여지지 않습니다. 이 영화에서는 인질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니라 우리 국민 21명을 구했던 그 과정에 초점을 맞춘 영화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교섭>의 줄거리
아프가니스탄에 선교활동을 하러간 샘물교회 교인 23명이 버스를 타고 가다 갑자기 등장한 탈레반 조직원들에 의해 납치되고, 버스는 폭발합니다. 한국에서는 피랍사건 소식으로 난리가 나고 외교부에서는 교섭 전문가인 외교관 재호(황정민)를 현지로 파견하게 됩니다.
<테러범과 협상은 없다> 그리고 <국가은 국민을 보호하고 살린다> 는 두 원칙을 지닌 채 재호는 카불에 도착합니다. 그러나 재호의 교섭은 좀처럼 진척이 없고, 국정원에서도 요원 대식(현빈)을 아프가니스탄으로 급히 파견합니다. 요원으로써는 출중한 실력이었으나 원칙에 따르지 않고 자유롭게 일하는 데 익숙한 대식이라 정반대 스타일인 재호와는 계속해서 갈등이 생기게 됩니다.
어느새 탈레반이 정한 살해 시한이 다가오고, 재호와 대식은 개인적인 감정은 접어두고 간접협상을 하기로 합니다. 그 협상은 최고지도자 회의를 이용하는 것으로 가장 실권을 가지고 있는 장로를 찾아가 카심(강기영)이
이슬람종파라며 친분을 쌓기도 하고, 재호는 인질들이 모두 자웜봉사자들이며 무고한 시민임을 계속해서 어필하고, 대식은 불 위를 뛰어넘는 위험한 놀이도 참여하고, 전통담배까지 피면서 끝내 신임을 얻어내는데 성공합니다. 그 결과 한국인 전원을 석방하기로 약속을 받아내지만 한국에서 피랍사건에 대한 토론방송을 생방송으로 진행하게 되면서 그 방송을 본 실권자가 분노해 석방을 취소해 버립니다.
<교섭>의 후기
결국 교섭에 성공해 납치되었던 21명의 인질들은 무사히 풀려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교섭의 바탕이 된 사건이 실화이다 보니 원래 가지고 있었던 부정적인 시선들을 어떻게 타파할 수 있을까 궁금했습니다. 최근 감독의 인터뷰
기사에서 “실화 바탕의 민감한 소재라 부담스러웠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만큼 한국 영화에서 다루기 어려운 소재라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라며 이 작품을 택한 이유에 대해 밝힌 것을 보았습니다. 물론, 교섭 전문가로써의 황정민, 국정원 요원 현빈의 연기는 흠잡을 데 없이 아주 좋았습니다. 현빈은 털이 덥수룩해도 여전히 멋지다는 것이 참 신기합니다. 그리고 우리 국민들을 구하기 위한 급박한 상황들과 긴장감, 그들의 사명감이 스크린에서 고스란히 느껴졌습니다. 딱 거기까지가 이 영화에서 볼 수 있는 긍정적인 면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아무리 인질들을 구하는 외교부와 국정원의 입장에서 만들어진 영화라고 하지만 사실, 당시 비판의 대상이었던 선교단이 이 영화에서는 무고한 피해자로만 그려지고 있어 이해가 되지 않기도 하고, 그들의 잘못을 다 알고 있는 관객들의 입장에서 마냥 불쌍하다고 생각이 들지도 않습니다. 그들이 아프가니스탄에 가기 전 상황과 잘못은 전혀 드러나지가 않고, 탈레반에게 마치 억울하게 납치된 듯한 장면으로 보여지는 것은 너무나도 대중들의 눈을 의식한게 아닌가 싶습니다. 그럴거면 차라리 실화가 아닌 순수한 창작물로써의 영화가 더 낫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그리고 현빈과 황정민이라는 멋진 두 배우가 영화 후반부로 갈수록 서로에게 맞춰가며 닮아가는 브로맨스를 보여주고 있지만 왜인지 감정이입이 잘 되지 않습니다.
이 영화를 보고 마지막에 든 생각은 “하지 말라는건 하지 말자!! ” “가지말라는데 굳이 왜 갔나?” 이 정도인 것 같습니다.
약 150억원의 제작비가 투입괸 교섭의 손익분기점은 약 350만명 대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 누적 관객 수는 채 170만명이 되지 않아 매우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어 사실 손익분기점 돌파는 어려운 실정이라고 보여집니다.
'영화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중한 날의 꿈> 마음이 따뜻해지는 우리 영화 (0) | 2023.02.09 |
---|---|
영화 <경관의 피> 줄거리 및 후기 (0) | 2023.02.09 |
하울의 움직이는 성(2004) 판타지 일본 애니메이션 (0) | 2023.02.09 |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후기 (0) | 2023.02.08 |
<이웃집 토토로>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 (0) | 2023.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