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중교통을 이용해 출퇴근하시는 분들이라면 한달 교통비로 약 10만원 가량 지출하게 됩니다. 아무래도 고정적으로 나가는 비용이다보니 어떻게 하면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을까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실텐데요. 알뜰교통카드로 교통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

알뜰교통카드는 기존의 정기권과는 달리 전국의 모든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를 이용하는 거리를 마일리지로 적립할 수도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해 대중교통비의 절감 혜택을 꼭 누려보세요.
"알뜰교통카드" 란 무엇인가요?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서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하여 지급하고, 카드사의 추가할인 혜택을 포함하여 대중교통비를 최대 30%까지 절감할 수 있는 교통카드를 말합니다.

"알뜰교통카드" 의 사용방법
- 우리카드, 신한카드, 하나카드, 티머니페이 알뜰교통카드 또는 모바일캐시비, 원패스 선불형 교통카드를 신청합니다.
- 알뜰교통카드 앱을 다운로드합니다.
- 카드를 수령한 후, 알뜰교통카드 앱에 회원가입을 합니다. *만 19세 이상만 회원가입이 가능하며 내 명의 휴대폰으로 본인인증이 필수입니다.
- 알뜰교통카드로 전국의 모든 대중교통을 이용합니다.



"알뜰교통카드" 의 신청방법
월 15회 이상 알뜰교통카드로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확인되어야 마일리지가 지급됩니다. 알뜰교통카드 앱에 회원가입이 가능한 지역은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알뜰교통카드는 전국에서 사용가능합니다. *알뜰교통카드 앱은 만 19세 이상이어야 회원가입이 됩니다.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대상지역이 아니거나 주소지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 마일리지는 지급되지 않습니다. 알뜰교통카드만 사용하고 앱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마일리지 적립, 지급이 되지 않습니다.
후불카드 _신한카드/ 우리카드/ 하나카드
카드사에서 발급받은 카드를 반드시 이용해야 마일리지가 적립됩니다.



카드사마다 마일리지 지급일과 지급방법이 상이하므로 정확한 내용은 카드사로 문의하시길 바랍니다.
선불카드_티머니페이
제로페이 알뜰교통카드는 티머니페이 앱에서 발급 가능합니다. (안드로이드)
티머니페이(티머니페이 앱)와 알뜰교통카드 앱을 동시에 이용할 경우에만 마일리지 혜택이 제공됩니다.
매월 16일 T마일리지로 지급됩니다.

선불카드_모바일캐시비
모바일캐시비 앱에서 발급된 선불형 교통카드를 알뜰교통카드 앱에 등록하여 사용합니다.
모바일 캐시비 앱은 안드로이드 폰에서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NFC기반 금융 유심 필수)
모바일캐시비 앱과 알뜰교통카드 앱을 동시에 이용할 경우에만 마일리지 혜택이 제공됩니다.


"알뜰교통카드" 의 마일리지 적립
교통요금 지출액 | 2천원 미만 | 2천원 이상~ 3천원 미만 | 3천원 이상 |
마일리지 지급액 | 최대 250원 | 최대 350원 | 최대 450원 |
보행, 자전거로 최대 800m 이동시 최대 지원횟수 최대 44회( 7월부터는 60회로 늘어날 예정)
800m 미만은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지급됩니다.


마일리지 적립방식

- 출발지에서 대중교통 승차지점까지 걷거나 자전거를 통해 이동한 거리 측정
- 대중교통 하차지점에서 도착지까지 걷거나 자전거를 통해 이동한 거리 측정
- 카드사로부터 대중교통 이용정보 수신
- 대중교통 이용정보와 알뜰교통카드 앱 출발/도착정보 일치여부 확인
- 정보 확인된 경우,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마일리지 적립

7월부터 변경사항
7월부터는 알뜰교통카드로 사용할 수 있는 카드사가 기존 6개에서 11개까지 확대될 예정입니다. 마일리지 적립횟수도 월 44회에서 60회로 늘어나게 됩니다. 또한 대중교통 이용시에 신용카드 소득공제가 기존 40%에서 80%로 확대됩니다.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는 직장인이나 학생들이라면 매달 지출되는 고정비용을 줄이는데 큰 도움이 될 듯합니다. 꼼꼼히 읽어보시고, 본인에게 맞는 알뜰교통카드를 신청하셔서 마일리지도 쌓으면서 교통비 할인 혜택도 꼭 챙기시길 바랍니다.


'알면 도움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 캠핑장 추천 벚꽃캠핑장 함께 가볼까요? 벚꽃개화시기 (0) | 2023.03.22 |
---|---|
자동차세 연납신청으로 세금 절약하기 (0) | 2023.03.20 |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신청 총정리 모르면 손해 (0) | 2023.03.13 |
2023 서울시 청년수당 자격 신청방법 총정리 (0) | 2023.03.10 |
안양시 재난지원금 신청 안양사랑페이 신청 (0) | 2023.03.09 |
댓글